반응형
1. 브라우저에 설치되는 확장 프로그램
- 설명: 브라우저(Chrome, Edge, Firefox 등)에 VPN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특정 브라우저 내에서만 VPN을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 특징:
- 사용이 간편하고 빠르게 켜고 끌 수 있음
- 특정 웹사이트 차단 우회 가능
- 브라우저 외의 프로그램(예: 게임, 메신저 등)에는 적용되지 않음
- 보안이 강력하지 않은 경우가 많음
예시: Browsec VPN, Hola VPN, ZenMate
2. OS 전체에 적용하는 방식 (시스템 전체 VPN)
- 설명: VPN 클라이언트를 설치하여 PC, 스마트폰 등 운영체제 전체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암호화하는 방식입니다.
- 특징:
- 브라우저뿐만 아니라 게임, 메신저, 이메일 등 모든 네트워크 통신에 적용됨
- 강력한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보안이 우수함
- 설정 과정이 조금 더 복잡할 수 있음
- 무료 서비스는 속도 제한이 있을 가능성이 큼
예시: ExpressVPN, NordVPN, Surfshark, ProtonVPN
3. VPN 라우터 설정 방식
- 설명: 공유기(라우터) 자체에 VPN을 설정하여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기기가 자동으로 VPN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특징:
- PC, 스마트폰, 스마트 TV, 게임 콘솔 등 모든 기기에 자동 적용됨
- 개별적으로 VPN을 실행할 필요 없이 항상 보안 유지 가능
- 설정이 어렵고 VPN을 지원하는 공유기가 필요함
- 인터넷 속도가 느려질 가능성이 있음
예시: ASUS, Netgear 등 VPN 지원 공유기 + OpenVPN 설정
4. 기업용 VPN (Site-to-Site VPN & Remote Access VPN)
- 설명: 기업이나 기관에서 내부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한 방식입니다.
- 특징:
- 회사 내부 시스템에 원격으로 안전하게 접속 가능
- 여러 국가 또는 지역의 사무실을 하나의 네트워크처럼 연결
- 일반 사용자는 활용하기 어려움
- 종류:
- Site-to-Site VPN – 서로 다른 사무실(지점) 간 안전한 네트워크 연결
- Remote Access VPN – 원격 근무자가 회사 내부망에 안전하게 접속
예시: Cisco AnyConnect, Palo Alto GlobalProtect
5. 클라우드 기반 VPN (Cloud VPN, ZTNA)
- 설명: 클라우드 서비스(AWS, Google Cloud 등)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VPN 서비스
- 특징:
- 물리적 장비 없이 VPN을 구축 가능
- 기업이 빠르고 유연하게 보안 네트워크 운영 가능
- 개인보다는 기업이 주로 사용
- 종류:
- Cloud VPN –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VPN을 설정해 원격 접속을 지원
- ZTNA (Zero Trust Network Access) – VPN보다 보안성이 높은 차세대 원격 접속 기술
예시: Google Cloud VPN, AWS Site-to-Site VPN, Perimeter 81
6. Peer-to-Peer (P2P) VPN
- 설명: 중앙 서버 없이 사용자끼리 직접 연결하는 VPN 방식 (탈중앙화 VPN)
- 특징:
- 중앙 서버가 없어 검열이 어려움
- 보안성이 높고 개인정보 보호 강화
- 속도가 느릴 수 있음 & 설정이 복잡함
예시: Orchid, Mysterium, Tachyon VPN
7. TOR + VPN (Onion over VPN)
- 설명: VPN과 TOR(익명 네트워크)를 조합해 최대한의 익명성을 제공하는 방식
- 특징:
- 사용자의 인터넷 활동을 거의 추적할 수 없음
- 높은 보안과 익명성 제공
- 속도가 느림 & TOR 네트워크 자체가 차단될 수 있음
- 예시: NordVPN의 Onion over VPN, TorGuard
8. Split Tunneling VPN
- 설명: 특정 앱 또는 웹사이트에만 VPN을 적용하는 방식
- 특징:
- VPN을 사용해야 하는 앱과 일반 인터넷을 분리 가능 (예: 유튜브는 일반 연결, 금융 사이트는 VPN)
- 인터넷 속도 최적화 가능, 설정이 필요함
- 예시: ExpressVPN, NordVPN, Surfshark (Split Tunneling 지원)
9.다양한 VPN 방식 요약
VPN 방식주요 특징대표 예시
브라우저 확장 VPN | 브라우저 내에서만 적용 | Browsec, ZenMate |
OS 전체 VPN | PC & 모바일 전체 적용 | ExpressVPN, NordVPN |
라우터 VPN | 모든 기기에 자동 적용 | OpenVPN + 공유기 |
기업용 VPN | 회사 네트워크 보호 | Cisco AnyConnect |
클라우드 VPN | 클라우드 기반 보안 | AWS VPN, Google VPN |
P2P VPN | 탈중앙화 & 높은 익명성 | Orchid, Mysterium |
TOR + VPN | 최상의 익명성 제공 | NordVPN Onion over VPN |
Split Tunneling | 특정 앱만 VPN 적용 | ExpressVPN, Surfshark |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VPN 방식을 선택하면 좋아요
예를 들어, 일반적인 웹서핑은 브라우저 VPN이 간편하고, 완전한 보안이 필요하면 OS 전체 VPN을, 기업 네트워크 보호가 목적이라면 클라우드 VPN이나 기업용 VPN이 적절해요.
반응형
'IT 관련 > 기초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업데이트 이해 - 2 (1) | 2025.03.27 |
---|---|
윈도우 업데이트 이해 - 1 (0) | 2025.03.26 |
윈도우 스포트라이트(Windows Spotlight) 기능 (0) | 2025.03.25 |
CRX파일(확장프로그램 설치) 추출 (1) | 2025.03.22 |
VPN이란 무엇인가 (3) | 2025.03.18 |